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현대 N 플랫폼

덤프버전 :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svg 현대자동차그룹의 중형차 플랫폼
Y 플랫폼N 플랫폼N3 플랫폼

파일:현대자동차그룹 로고.svg
파일:mWPKjhJ.jpg
적용 차량 중 하나인 현대 쏘나타(6세대, YF)
N Platform

1. 개요
2. 플랫폼 설명
3. 적용 차량
3.1. 1세대(N1) (2009 ~ 현재)
3.2. 2세대(N2) (2014 ~ 현재)
3.3. 제조 공장별
4. 둘러보기


Hyundai Motor Group N Platform

1. 개요[편집]


현대자동차그룹에서 2009년부터 활용하고 있는 전륜구동 및 전륜구동 기반 4륜구동 형태를 갖추고 있는 중형차~준대형차자동차 플랫폼이다.


2. 플랫폼 설명[편집]


1983년부터 20년 정도 넘게 쓰여온 Y 플랫폼을 대체하기 위해 개발했으며 전 세대 플랫폼처럼 세대 형식으로 나눠진다. 최초 적용 차량은 쏘나타(6세대)가 아닌 의외로 준중형 SUV인 투싼(2세대)이 양산차량으로서 제일 먼저 적용됐으며 정말로 특이한 케이스다. 그래도 플랫폼 개발 자체는 이전 세대의 중형 전륜구동 플랫폼들처럼 해당 세대의 쏘나타를 만들면서 동시에 개발한다.

위키 내에서 플랫폼의 네이밍을 N 플랫폼이라고 명명하고 있는 이유는 풀네임인 TYPE-N 플랫폼을 편의상 N 플랫폼으로 줄였기 때문이며, J 플랫폼을 사용했던 현대자동차, 기아의 준중형 SUV들이 중형차용 플랫폼을 대거 쓰게 되면서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또한 Y 플랫폼 시절의 차량들은 충돌 테스트 결과가 별로 좋지 못했으나, Y 플랫폼 대비 차체 강성과 충돌 안전성이 대폭 강화돼 N 플랫폼이 적용된 차량들은 충돌 테스트 결과도 상위권 성적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전륜 현가장치는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이, 후륜 현가장치는 세미 트레일링 암 기반의 멀티링크 서스펜션세단, SUV, MPV에 상관없이 모두 똑같이 적용된다.[1]

파워트레인은 직렬 4기통 엔진과 V형 6기통 엔진이 탑재되며, 6단 수동변속기 혹은 6~8단 자동변속기, 7단 듀얼 클러치 변속기가 탑재된다.

내수 판매용 디젤은 전부 배출가스 3등급이다.

플랫폼 적용 차량의 생산지는 대한민국울산광역시, 광주광역시, 충청남도 아산시미국조지아주 등이다.

3. 적용 차량[편집]



3.1. 1세대(N1) (2009 ~ 현재)[편집]


파일:현대자동차 심볼.svg 현대자동차의 N1 플랫폼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OsmTZUN.jpg
2009 ~ 현재최초 적용 차량.
투싼 (2세대)
파일:mWPKjhJ.jpg
2009 ~ 2016
쏘나타 (6세대)
파일:grandeur_celebrity_1.jpg
2011 ~ 2016
그랜저 (5세대)
파일:EnHZ1jm.jpg
2011 ~ 2019
i40
파일:HyundaiDm1.png
2012 ~ 2019
싼타페 (3세대)
파일:맥스크루즈1.jpg
2012 ~ 2019싼타페의 장축형 모델.
맥스크루즈
파일:external/www2.hyundai.com/ww_globalnews_large_1_20131120.jpg
2013 ~ 2020
미스트라 (1세대)
파일:external/oi67.tinypic.com/29ctq1l.jpg
2014 ~ 2018그랜저 5세대의 고급화 모델.
아슬란
파일:ix35_2018.jpg
2017 ~ 2023
ix35 (2세대)

파일:기아 로고.svg 기아의 N1 플랫폼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1caMwmo.jpg
2009 ~ 2016
K7 (1세대)
파일:xurHUkA.jpg
2010 ~ 2022
스포티지 (3세대)
파일:DEzY8tW.jpg
2010 ~ 2015
K5 (1세대)
파일:sf8TSAr.jpg
2012 ~ 2021
쏘렌토 (2세대 후기형)
파일:06431556ba47365a36a647ad848d239ff212f698.jpg
2014 ~ 2021
K4 (중형차)
파일:B5PtRCQ.jpg
2014 ~ 2023
카니발 (3세대)
파일:external/9d6030a5c1f8f737057c2f6fa5ce5f741cc735aff726f177af37141fbff512ef.jpg
2016 ~ 2022
KX7
파일:1122619251_15224666695261n.jpg
2018 ~ 현재
즈파오


3.2. 2세대(N2) (2014 ~ 현재)[편집]


파일:현대자동차 심볼.svg 현대자동차의 N2 플랫폼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68005F7F-7F36-48F8-ABF8-AC6ADE410869.jpg
2014 ~ 2023
쏘나타 (7세대)
파일:GRZkVai.jpg
2015 ~ 현재
투싼 (3세대)
파일:4C3189AB-5451-46C7-AC3A-ED888BB5B22C.jpg
2016 ~ 2022
그랜저 (6세대)
파일:2019-santa-fe.jpg
2018 ~ 2023후기형은 N3 플랫폼이 부분적으로 적용되긴 했으나, 전후면 프레임이 N3 플랫폼의 것으로 변경된 것이 전부이고 기본적인 프레임은 N2 플랫폼이다. 따라서 후기형 역시 공식적으로는 N2 적용 차량으로 분류된다.
싼타페 (4세대)
파일:hyundai-nexo-1.jpg
2018 ~ 현재수소연료전지자동차. 친환경차지만 아예 전용 플랫폼을 쓴 것은 아니며, 연료전지 및 배터리 탑재를 위해 일부분 개량은 이루어졌다.
넥쏘
파일:1세대 현대 팰리세이드.png
2018 ~ 현재
팰리세이드

파일:기아 로고.svg 기아의 N2 플랫폼 적용 차량
적용 차량적용 기간비고
파일:0e3Dgkt.jpg
2014 ~ 현재여기서부터 쏘렌토에 먼저 신형 플랫폼이 적용되고, 나중에 싼타페에 적용된다.
쏘렌토 (3세대)
파일:external/www.kia.com/20160705_k5_popup_ex01.jpg
2015 ~ 2021
K5 (2세대)
파일:APDFogU.jpg
2015 ~ 현재
스포티지 (4세대)
파일:K7_1436.jpg
2016 ~ 2021
K7 (2세대)
파일:kia_telluride_nightfall.webp
2019 ~ 현재
텔루라이드


3.3. 제조 공장별[편집]




4.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4:22:46에 나무위키 현대 N 플랫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Y4~Y5 때에는 플랫폼을 기본형(세단용)/SUV용/MPV용으로 따로 나눠서 현가장치를 차종마다 다르게 적용시켰기 때문이다. 현대 Y 플랫폼 문서의 4번, 5번 문단 참조.